WIL

2023년 4월 3주차 WIL

seulki_lim 2023. 4. 23. 19:45

이번주에 알게 된 점

  • Spring 강의를 들으며 과제를 구현해 제출했다.
  • 어제 lv4 과제까지 제출했다. JPA와 Spring Security에 대해 조금은 알 것 같다. 정규표현식도 전혀 몰랐는데, 유표성 검사를 구현하면서 많이 찾아보아 조금은 알겠다.
  • 컴퓨터에서 작업해서 github에 commit > push 한 것들은 잔디가 심어지지 않아 검색을 해보고, 로컬 이메일주소를 확인해 보니 잘못 입력되어 있었다... 어제는 이메일 주소를 수정하고, 그동안 밀린 잔디를 심는 작업을 했다!
  • DI는 Dependency Injection(의존성 주입)으로 객체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모듈 간 결합도가 낮아지고 유연성이 높아진다. 주입 방식에는 Setter, 생성자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 IOC는 Inversion of Control(제어의 역전)으로 매소드나 객체의 호출 작업이 개발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객체의 의존성을 역전시켜 객체 간 결합도를 줄이고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자바 객체를 Bean이라고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Bean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고, Bean에게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IoC와 DI의 원리가 적용된다. Bean을 등록하기 위해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은 @Component의 상속을 받고 있어 자동으로 빈으로 등록된다. 매소드 위에 @Bean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빈을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이번주 목표 - 달성 여부

  • Spring 숙련주차 강의 다 듣기
  • Spring 숙련주차 Lv2, 3 과제 완성하기 (페어프로그래밍)
  • java 문법 5주차 강의 다 듣기
  • -> 여전히 모던 자바 강의가 남아있다
  • 하루에 알고리즘 문제 1~4개씩 풀기
  • -> 하루밖에 못했다...
  • java의 정석 챕터3, 4 정독하기
  • -> 과제한다고 이것도 못했다...
  • Github에 잔디 매일 심기
  • TIL 매일 작성하기 (고민 꼭 담기)

느낀 점 / 아쉬운 점

  • 지난 다짐대로 강의를 1.5배로 듣고, 과제를 시작해 나름 빠른 속도로 제출해내고 있다. 그러다 보니 처음에는 이해가 안 갔던 것들이 과제를 구현해 내고 다시 강의를 들으며 주석을 달아가니 조금씩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 페어로 진행하며 Pull-Request를 하는 연습을 했는데, 직접 경험하는 게 큰 도움이 되었다.
  • 과제를 쭉 진행하다 보니 키워드, 이론 정리하는 시간이 부족했다. Lv5까지 후다닥 끝내고 여유 시간 동안 밀린 공부하는 시간을 꼭! 가져야겠다.
  • 이번주는 산책, 운동을 전~혀 못했다. 거북이 목이 되어가는 게 너무 느껴진다.. 공부할수록 해야 하는 게 더 많이 보여서 걱정이다. 그래도 적당한 운동 시간은 가져가야 오래갈 수 있을 것 같아 다음 주는 조금 짬을 내보아야겠다.

다음주 목표

  • Spring 심과 강의 다 듣기
  • Spring Lv5 과제 완성하기
  • java 문법 5주차 강의 다 듣기
  • 하루에 알고리즘 문제 1~4개씩 풀기
  • java의 정석 챕터3, 4 정독하기
  • 밀린 이론 공부하고 블로그에 정리하기
  • Github에 잔디 매일 심기
  • TIL 매일 작성하기 (고민 꼭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