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로 배포했으나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음
가비아가 아닌 Go Daddy에서 도메인을 구입했다.
Go Daddy는 DNS 설정하는 부분이 있어서 거기에 NS 유형으로 네임서버를 등록했었는데,
그래서인지 서버에 접속이 안 되는 팀원들이 많았다.
하단 네임서버에 호스팅 영역에서 생성된 네임서버를 추가해 주니 접속이 안되던 팀원도 접속이 되었다!
BUT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되는 문제가 계속 발생함.
(해결 예정)
발표 전까지도 랜덤하게 되어서 시연은 연결이 되는 팀원이 하기로..!
MVP 중간발표 피드백
아키텍처 상에 지금 안쓰고 있는 것들이 부각되어 나오는 것 같음 다듬으면 좋겠습니다. 채팅 서버를 사용할 때 도커 컨테이너 두세 개 늘린다고 했는데, 방법이 여러 개 있으니까 채팅할 때 방법들을 고민해 보면 좋겠습니다. 시연 화면에서 페이지가 넘어가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해 아쉽습니다. 다른 사람한테 이야기할 때 "서버가 이상해서요"라고 하면 "개발이 안되어서요"라고 들립니다. 보통 발표 전에는 개발을 픽스해 놓고 발표 준비를 합니다. 그런 부분도 다른 발표 할 때나 보여줄 기회가 있을 때는 조절해 보면 좋겠습니다.
기술면접 질문
JUnit5 사용했다고 적혀있는데, 추후 개발 계획에도 적혀있어서 어떻게 적용했는지?
아직 적용한 것은 아니고, 추후 적용 예정입니다.
테스트를 컨트롤러 단에서 하는지? 서비스 단에서 하는지?
서비스 단에서 하고 있습니다.
jpa랑 queryDSL 중복 사용? 왜 그렇게 했는지?
복잡한 로직을 짜야할 때 queryDSL 사용하고 간단한 조회 기능은 jpa 기능을 사용했습니다.
redis는 어떤 영역에서 사용?
아직 사용은 안했지만, 채팅 메시지를 다 저장하면 낭비일 것 같아서, redis에 저장해 두었다가 5분에 한 번, 10분에 한 번 저장할 예정입니다.
docker는 왜 사용하게 되었는지?
프리티어 서버를 사용하고 있어서, 추후에 다양한 기능을 개발할 예정이라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리소스 낭비를 막기 위하여 사용했습니다. 로컬환경에서 에러가 났던 경우가 많아서, 로컬 환경과 동일하게 컨테이너 환경을 만들어서 올리려고 사용했고, 채팅 기능 등을 컨테이너 분리해 구동할 예정입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기의 TIL - 2023.06.11 ( console에 log 찍기 + Scheduled ) (0) | 2023.06.12 |
---|---|
슬기의 TIL - 2023.06.10 (0) | 2023.06.12 |
슬기의 TIL - 2023.06.08 (0) | 2023.06.12 |
슬기의 TIL - 2023.06.07 (0) | 2023.06.07 |
슬기의 TIL - 2023.06.06 ( 트러블 슈팅 ) (0) | 2023.06.06 |